
푸른곰
'새 박사' 윤무부 경희대 명예교수 별세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15038100505
@[email protected] · 17 following · 14 followers
A software engineer in Seoul, and a father of a kid.
'새 박사' 윤무부 경희대 명예교수 별세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15038100505
드디어 봤다 F1 더 무비
https://youtu.be/P_9ctvIyry8?si=qptAu5NTfoV71nk7 머스크 아조씨는 참 재미있게 사시네...
FigJam에다가 아이패드로 필기하고 있는데 제법 괜찮은 듯. 피그마 매년마다 결제해서 쓰고 있는데, 굉장히 값어치를 한다...!! 원노트보다 훨씬 좋다...!!!
@[email protected] · Reply to Hollo :hollo:'s post
Fedify 프레임워크의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Hollo 보안 업데이트를 릴리스했습니다 (0.4.12, 0.5.7, 0.6.6). 이번 업데이트는 CVE-2025-54888을 수정하는 최신 Fedify 보안 패치를 포함합니다.
모든 Hollo 인스턴스 관리자분들께서는 가능한 한 빨리 해당 릴리스 브랜치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시기를 강력히 권장합니다.
업데이트 방법:
docker pull ghcr.io/fedify-dev/hollo:latest
로 최신 이미지를 받고 컨테이너를 재시작하세요git pull
로 최신 코드를 받은 후 pnpm install
을 실행하고 서비스를 재시작하세요@[email protected] · Reply to 헤카's post
@heka @kanapsany 뭐 수년전에 우리나라에서도 되도않는 딥링크 라는 웃기지도 않은 말을 만들어서 기사에 직접 링크도 못 걸게 해야 한다고 난리를 했었으니... 내용을 인덱싱하는 건 말할 것도 없죠... 그리고 perplexity 는 그 기사 내용을 가지고 돈을 버는 거니까요. (구글도 마찬가지 였긴 하지만... )
@[email protected] · Reply to Simon Willison's post
Here's what I mean by "competitively priced"
I've had preview access to GPT-5 for a couple of weeks, so I have a lot to say about it. Here's my first post, focusing just on core characteristics, pricing (it's VERY competitively priced) and interesting details from the GPT-5 system card https://simonwillison.net/2025/Aug/7/gpt-5/
@[email protected] · Reply to Woojin Kim's post
@me 게시판에 글 수백개쯤 올려보라고 했더니 글쓰기 버튼을 못 찾아요 ㅠ ㅠ 그냥 브라우저에 js 돌리면 수백개 금방인데 엉엉
홉랩 모니터 띄워놓고 이런거 물어볼수있음.
좋은 내용이였다. 앞으로 에이전트 매니저 역할을 겸해야 하는 개발자들이 생각해볼만한.
Managing implementations you don't understand is a problem as old as civilization. (and every manager in the world already deals with this!) Find an abstraction layer you can verify!
How does a CTO manage an expert? -> Acceptance Tests
How does a PM review an Eng feature? -> Use the product
How does a CEO check the acccountant? -> Spot check key facts
그러니까 구치소에 있는 윤석열은 법무부장관의 지시가 있고 체포영장이 있어도 불응하면 끌어내지 못하고
지하철에서 시위하는 전장연은 체포영장도 없고 사법권도 아직 없는 서울지하철교통공사의 지하철 보안관에게 끌려나오던데...이런데 내란이 끝났다고 생각하는 걸까?
uBlock Origin Lite 맥/아이폰/아이패드 용 Safari 확장 제공 개시
Raymond Hill이 개발한 CPU와 메모리를 적게 차지하면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유명한 광고 등 컨텐츠 차단 플러그인인 uBlock Origin은 Chrome/Chromium에서 Manifest V3(MV3) 도입 이후 기능의 상당 부분이 축소된 끝에 uBlock Origin Lite로 개발이 이어오고 있습니다. 그러던 차에, uBlock Origin의 Mac/iPhone/iPad용 Safari용 확장이 Safari 13 이후로 플러그인 구조 변화로 인하여 더 이상 제공되지 않았다가, uBlock Origin Lite로서 이번에 Safari 확장이 제공되기 시작되었습니다. 무려 5년 만입니다.
@[email protected] · Reply to 염산하's post
근데 나는 Free 나 What it sounds like 가 더 좋은데.
주말에 케데헌을 봤는데 망했다. 지금도 머리에서 골든이 울리고 있다.
@[email protected] · Reply to 솔에르다조각's post
근데진짜로귀여움
@[email protected] · Reply to Jaeyeol Lee's post
@kodingwarrior 자매품 yi"
같은 것도요!
많은 사람들이 각자 에디터에 Vim 에뮬레이터깔고, 한번씩 ci(/ci{/ci[/ci'/ci"/ci` 돌려봤으면 좋겠어
프론트엔드 하는 팔로워분들은 cit 한번씩만이라도,,,,
나만 이 분이 뭐가 불편하다는 건지 의문스러운 건 아닌 모양이다. https://x.com/stillwalking3/status/1951594945384788204?s=46&t=3SSCMzU8n1YA4_S4Nc9Piw 연예인의 삶이 어떤지는 알 수가 없지만, 여러가지 배울 여유를 낼 수 있다는 게 매우 부럽다. 그 에너지도 부럽고.
속옷만 입고 드러누웠다는 게 진짜냐...
현재 시각은 23시 58분. Fedify에 NestJS를 지원한다고 온갖 삽질을 하다가 마지막을 보고 있는 시점에서 뭘할까 고민하다 가만히 있기는 좀 그래서 끄적이는 의식의 흐름대로 쓰는 글....
맥락이 싹다 휘발되기전에 내가 어떻게 우여곡절을 겪었는지를 좀 러프하게 요약해보자....
Fedify 프로젝트를 NestJS 에서도 쓸 수 있도록 Fedify 모듈을 만들려고 했던 것에서부터 불행이 시작됨.
애초에 NestJS는 CommonJS 기반이고 Fedify는 ESM 모듈만 지원했어서, 이걸로 사용할 수 있녜마녜 하는 얘기가 오가는 중에 Node 22 버전에서 NODE_OPTIONS=--experimental-require-module
환경변수 걸면 esm 모듈을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됨.
Fedify 프로젝트에 포함된 라이브러리로 넣기 이전에, 가설검증은 해봐야겠어서 기존에 NestJS 기반으로 만들려고 벼르고 있던 프로젝트에서 가설검증을 시도함
가설 검증 자체는 성공적이고 스무스했음. Fedify microblogging 예제를 돌릴 정도는 돌아갔던 것 같음.
하지만........ Fedify로 통합하는 과정이 문제가 있었는데... Fedify에 돌아가는 코드를 옮겨놓고, 그 코드가 의도하는대로 잘 뽑히는지가 문제였던 것이다.
예를 들면, NestJS는 Typescript 생태계에서는 거의 deprecated된 것으로 취급하는 Decorator 문법을 쓰고 있는데, deno 런타임에서는 지원안하는것은 물론이고, 패키징을 하는 것 자체는 성공했으나 npm 패키지를 가져다 쓰는 입장에선 계속해서 런타임 에러가 뜨는 것. 데코레이터 문법의 경우엔 tsconfig 파일을 또 별도로 수정해서 어떻게든 코드가 뽑히게 했음.
그래서 node_modules 를 직접 까보면서 코드가 어떻게 뽑히는지 직접 두눈으로 확인해보기도 하고, 민희님 도움 받아서 pnpm prepack
커맨드로 tgz 파일 만들어서 그걸 package.json에서 가져다 쓰는 것도 어쩌다보니 하게 되고... 패키징은 제대로 되었는데 왜 import 오류가 다시 뜨는가 하고 봤더니, 처음으로 돌아가서 NODE_OPTIONS 환경변수 문제였고. commonjs/esm 둘다 js 아웃풋이 나오도록 세팅하는 것도 해보고, 패키지 퍼블리시까지 겨우 성공
그러다가, 다시 왜 안 돌아가지하고 봤는데... 처음에 돌아가던 코드에서 좀 정리를 하다보니 안 돌아가게 된 케이스도 있었고, 어떤 부분은 NestJS 내부 구현(Express)을 몰라서 계속 똥볼을 찬 케이스도 있었고, 몇시간을 심연을 들여다 봤던 것 같다...
패키징하면서도 오류 터져서 빌드깨지는거만 체감상 한 10~15번 정도한 것 같은데 머리에 스팀 나는 줄 알았음...
이젠 된다... 진짜 험난한 여정이었다...
Perplexity Comet의 에이전트 기능
ChatGPT도 에이전트 기능이 Plus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해졌습니다만, 어디에 써야하나 고민하던 중이긴 합니다. 한편 Perplexity(퍼플렉시티)도 Comet이라는 브라우저를 런칭해서 맥스 요금제 사용자 혹은 대기 목록에 올리거나 이미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서 초대장을 받은 일반/프로 사용자에게 사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저는 Pro 사용자지만 대기목록 순번이 되어 초대장을 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녀석의 유능함은 처음에 "당일 배송 혹은 빠른 배송이 되는 브라운 시리즈 9 면도기용 날을 찾아줘" 하니 쿠팡으로 들어가서 장바구니에 철커덩 넣는 것으로 알았습니다만, 오늘은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How to Solve it (어떻게 문제를 풀것인가 저자 G. Polya) 보니까 메타인지가 향상되는 느낌임
제대로 여러번 읽고 블로그에 리뷰를 써봐야겠지만.. 파인만 알고리즘 상세 해설한 느낌
문제 풀이 4단계 보면 이런 내용이 나옴
문제 이해
계획
계획 실행
반성
RE: https://hackers.pub/@nirvana/01984adc-e94c-735d-929a-112d4e1b2179
목차만 미리 봐도 다음 책은 프로그래머의 뇌를 봐야겠구나.. ㅋㅋ
@[email protected] · Reply to 나나나나미's post
2022년 12월 기사. ‘성평등’ ‘성소수자’ 뺀 교육과정 개정안…어떻게 가르치려고?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66543.html
"교육부가 9일 발표한 ‘2022 개정 교육과정’ 개정안에서 ‘성소수자’와 ‘성평등’이라는 용어가 삭제됐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교육과정이 성소수자의 존재를 지우고, 구조적 성차별을 부정한다고 비판했다."
이번 서울시 매뉴얼 변경도 이런 교육부 고시를 따랐다는 것. 서울만의 문제가 아니라 윤석열 정부가 심어둔 혐오 전반의 문제.
당신이 이미 좋아하고 있었지만 누군지도 모르고 있었을 아티스트1 릴리 세이카 존스. 그 유명한 철퇴 토끼의 작가분입니다. 너무 귀여운 리얼하고 섬세한 털친구들 환타지 그림 그리시는 분이죠. 이제 우리 모두 이름을 알게 되었군요!ㅋㅋㅋ www.lilyseikajones.com
후쿠시마현 농수산물 안전하다?…언론 통제 실태: 정보공개로 밝혀낸, 광고회사 덴츠의 여론조작 ‘보도를 광고화’ https://www.ildaro.com/10235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에 대형 광고회사 덴츠가 거액의 세금을 받아 후쿠시마 사고를 축소하는 정보조작 사업을 했었다고.
노란봉투법, 폐기 전 원안 수준 환노위 통과···노동계 “원청 책임 회피 관행 종식될 것”
www.khan.co.kr/article/2025...
“노동계에서는 최근 노동부가 제시한 수정 의견이 기존 민주당 당론보다 후퇴했다며 반대해왔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은 노동계 반발을 우려해 기존 민주당 당론 법안 수준으로 법안을 통과시켰다. 양대노총이 노동부가 낸 수정 의견을 두고 “후퇴안”이라고 거세게 반발하자 이를 의식한 정부·여당이 기존 안 수준으로 한 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노란봉투법, 폐기 전 원안 수준 환노위 통과···노동계...
[단독] “서부지법 난동은 항쟁”이라는 변호사…인권위 전문위원에
연취현 변호사 인권위 정보인권전문위 위원에 위촉
‘성소수자 차별 조장’ 교수는 성차별 전문위원으로
시민 활동가 상당수 해촉, 보수 교계 인사로 교체 중
수정 2025-07-28 20:21 www.hani.co.kr/arti/society...
[단독] “서부지법 난동은 항쟁”이라는 변호사…인권위 ...
https://www.youtube.com/live/WIqo3Fmxjqk?si=kHEQkAqTlgguPn3b notebooklm 에 공식 문서를 넣고 공부해보기... 먼저 추론, 설명해보고 찾아보기